성공적인 AX를 위한 8단계
[DX
AX
Consulting
]
요즘 Digital Transformation(이하 DX) 에 이어 AX(AI Transformation) 이 각 기업에서 핫한 먹거리로 떠오르는 것 같습니다.
이에 ‘돈쓰지 않고 AI에 일을 시키는 DIfy 활용(お金を使わずAIを働かせるDify活用術)’ 이라는 책에서 AX를 위한 8단계를 발췌해 정리해 보았습니다.
- 업무 내용의 가시화
- 해당 업무를 사람이 직접 했을 때의 공수 파악
- 상정 인건비 : 프로세스를 운영하는데 들어가는 비용 파악
- 업무과제, 문제점 들을 전부 도출
- 생성형 AI로 해결할 방법 : 구체적인 아이디어 검토
- 참고할 정보, 산출물 포멧 결정
- 추가로 체크할 항목; 반복성, 정확성, 코어 업무
- AI로 절약할 수 있는 비용 계산
1. 업무 내용의 가시화
아래는 업무 내용 가시화의 예시다.
담당업무, 담당자 | 업무 프로세스1 | 업무 프로세스2 |
---|---|---|
마케팅 | 기사작성 | 키워드 결정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기사 구성 결정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기사본문 집필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워드프레스에 입력 / 디자인 조정 |
영업부 | 아웃바운드영업 | 영업 리스트 작성 |
영업부 | 아웃바운드영업 | 영업 시나리오 작성 |
이 때 주의할 점은 ‘구체적’ 으로 적어야 한다는 점이다.
- 나쁜 예
- 업무 : 고객응대
- 좋은 예
- 고객의 문의를 사내 Q&A 기준을 참조해 답신을 보내준다
이 경우 가급적 생성형 LLM의 기능을 상상하면서 적으면 좋다. 나중에 이 기능의 가시화를 빠르게 할 수 있다.
2. 해당 업무를 사람이 직접 했을 때 필요한 공수 파악
1에서 가시화한 작업들에 대해
- 해당 업무를 현재 몇 명 정도 관여하고 있나?
- 해당 업무에 담당자 1명이 평균 얼마의 공수를 들이고 있나?
를 조사한다.
이 때 정확한 수치를 조사하지 않고 감으로 입력해도 된다. 정확한 공수를 위해 3개월을 걸려 조사한다면 이는 본말전도의 상황이다.
담당업무, 담당자 | 업무 프로세스1 | 업무 프로세스2 | 관련담당 인원수 | 들어가는 공수 | 전체 월간 공수 |
---|---|---|---|---|---|
마케팅 | 기사작성 | 키워드 결정 | 1 | 30 | 30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기사 구성 결정 | 5 | 80 | 400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기사본문 집필 | 5 | 80 | 400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워드프레스에 입력 / 디자인 조정 | 3 | 20 | 60 |
영업부 | 아웃바운드영업 | 영업 리스트 작성 | 10 | 40 | 400 |
영업부 | 아웃바운드영업 | 영업 시나리오 작성 | 5 | 10 | 50 |
3. 상정 인건비 ; 프로세스를 운영하는데 들어가는 비용 파악
당담업무, 담당자 | 업무 프로세스1 | 업무 프로세스2 | 평균 인건비 또는 외주비 / 시간 | 예상 월간 비용 | 예상 연간 비용 |
---|---|---|---|---|---|
마케팅 | 기사작성 | 키워드 결정 | 40,000 | 1,200,000 | 14,400,000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기사 구성 결정 | 40,000 | 1,600,000 | 192.000.000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기사본문 집필 | 40,000 | 2,400,000 | 2,880,000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워드프레스에 입력 / 디자인 조정 | 40,000 | 2,400,000 | 2,880,000 |
영업부 | 아웃바운드영업 | 영업 리스트 작성 | 50,000 | 20,000,000 | 240,000,000 |
영업부 | 아웃바운드영업 | 영업 시나리오 작성 | 50,000 | 2,500,000 | 30,000,000 |
- 총 인건비 베이스(급여 + 법정복리후생비) 을 고려하여 산출한다.
- 정사원일 경우에는 복리후생비 등을 고려하면 기본 인건비의 1.5배를 하는게 일반적이다.
4. 업무과제, 문제점 들을 다 끄집어 낸다
들어가는 비용을 조사했다면, 이제 해당 단계에서의 문제점, 업무과제들을 조사한다
담당업무, 담당자 | 업무 프로세스1 | 업무 프로세스2 | 업무과제 및 문제점 |
---|---|---|---|
마케팅 | 기사작성 | 키워드 결정 | 키워드플래너 및 ahrefs등을 써서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있음 이런 키워드를 이용해 전략을 이끌어내는 능력은 A밖에 없어서 A에의 의존도가 높은 상황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기사 구성 결정 | 현재 전문 필자가 5명으로 부족한 상황임. 구성결정에 생각보다 시간이 걸림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기사본문 집필 | 5인 필자 체제에서 자료 수집 및 검증 등에 시간이 많이 걸려 공수가 늘어지는 경향이 있다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워드프레스에 입력 / 디자인 조정 | 구글독스에서 작성한 문서를 HTML화 하고, 참고 이미지를 만들고 최종 배치 및 조정까지의 시간이 걸린다 |
영업부 | 아웃바운드영업 | 영업 리스트 작성 | 영업담당이 일일이 구글 검색 + 홈페이지를 조새하여 수작업으로 영업 리스트를 만들었다. 영업 활동의 공수중에 리스트작성이 일정 포션을 차지함 |
영업부 | 아웃바운드영업 | 영업 시나리오 작성 | 시나리오 작성 자체에 많은 시간이 들지는 않지만, 시나리오 분석을 하지 않으면 무엇이 성공요인일지 특정하기가 어려움 |
- 나쁜 예
- 영업 리스트를 작성하기 힘들다
- 좋은 예
- 구글검색후 대상 기업의 홈페이지에서 전화번호, 문의처 정보를 찾아낼 때, 이런 정보를 찾기가 상당히 번거롭다.
5. 생성형 AI로 해결할 방법; 구체적인 아이디어 검토
4에서 특정한 과제에 대해 생성AI 및 Dify의 기능을 활용하여 어떻게 이를 해결할 지를,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검토한다. 이 단계가 제일 어려울 것이라 단언한다. 이 단계에서는 Dify의 강점,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 등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.
담당업무, 담당자 | 업무 프로세스1 | 업무 프로세스2 | 생성형 AI로 가능할만한 것 | 생성형 AI로도 안될것 같은 것 |
---|---|---|---|---|
마케팅 | 기사작성 | 키워드 결정 | A군의 키워드 전략 수립 방법을 인터뷰. 이를 Dify에 RAG화 | 키워드 검색 등은 기존 도구등으로 가능하기때문에 오히려 생성AI필요가 없을지도…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기사 구성 결정 | 기사 구성은 생성형AI로 70%정도 커버할 수 있을것 같음. 나머지 30%는 기존 라이터들을 활용한다 | 미려한 문체, 프로 작가만큼의 퀄리티 등은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. |
영업부 | 아웃바운드영업 | 영업 시나리오 작성 | … | … |
여기서 주의할 포인트들이 있다.
- Dify 이외에 다른 도구로 해결가능한지 검토한다
- chatGPT같은 다른 기초적인 도구로 해결이 가능할 지 먼저 검토한다. 이것으로 충분히 해결가능하면 이것으로 간다.
- Dify의 기능을 생각하면서 검토한다.
- chatGPT등으로 어렵다고 판단되면 Dify의 기능들(워크플로, 챗 플로우, 날리지 등)을 생각하면서 ‘이 문제는 이걸 쓰면 되겠군!’ 과 같이 검토를 한다.
- 예를 들어 ‘고객 문의사항에 대해 메일로 일일이 답장하는게 힘들다’ 라는 문제는 챗 플로우 기능을 통해 LLM노드를 만들고 문의 내용을 입력하면 이에 대해 답장을 하도록 하게 만들 수 있다.
- 이 메일 내용을 ‘사내 Q&A의 내용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’ 라는 규칙이 있다면 이는 RAG화 하여 반영한다.
- 나쁜 예
- Dify로 영업제안서 작성하기
- 여기에는 “How”가 전혀 없다.
- Dify로 영업제안서 작성하기
- 좋은 예
- 제안자료의 디자인을 템플릿화하고 구글 슬라이드로 출력 할 수 있도록 하기
- 구체적인 정황이 들어가 있다
- 제안자료의 디자인을 템플릿화하고 구글 슬라이드로 출력 할 수 있도록 하기
6. 참고할 정보, 산출물 포멧 결정
5를 진행할 때 또 중요한 것이 어떤 정보를 참고로 할 것이며, 출력은 어떤 형식으로 할지를 정하는 일이다. 생성형 AI는 이름 그대로 ‘생성’ 을 할 거라 생각하지만 실은 ‘데이터 변환’의 의미가 더 크다.
예를들어 ‘기사 작성’ 에 필요한 입력 정보는 유튜브 동영상, 기사크롤링, 전문가 인터뷰 등이다. 또는 ‘조직 내부 데이터’ 인가 ‘조직 외부 데이터’인지도 구분하는게 좋다.
조직 내부 데이터의 경우 보안 및 유출될 경우 발생할 문제들에 대해 대응을 해야 한다. 외부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 수집에 적법성에 대해 검토를 해야 한다.
출력은 마크다운, 텍스트 출력의 경우 큰 문제는 없다. 하지만 파워포인트, 워드, 엑셀 등 특정 애플리케이션 문서의 형태가 필요하다면 지원되는 LLM의 수배 및 이의 적정성에 대해 검토를 해야 한다.
7. 추가로 체크할 항목; 반복성, 정확성, 코어 업무
AI를 도입할 때 체크해야 할 세가지 항목은
- 반복적인가
- 요구되는 정확성은?
- 코어 업무인가
이다.
지표 | 설명 | 판단 포인트 |
---|---|---|
반복적인가 | 이 작업은 어느정도의 빈도(매일, 매주, 매월)로 수행되어야 하나? | 정기적으로 반복되는 업무일수록 AI가 잘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|
요구되는 정확성 | 이 작업이 도달해야할 정확함의 정도 | 높은 정확도가 필요한 업무인가? 다소 오차를 허용하거나 여유가 있는 업무인가? |
코어 업무인가? | 회사의 중핵을 담당할 업무나 프로세스인가? | 중핵의 업무일수록 임원의 설득이나 사원들에의 설명이 어려울 수도 있음 |
담당업무, 담당자 | 업무 프로세스1 | 업무 프로세스2 | 반복적인가 | 정확해야 하나 | 코어 업무인가 |
---|---|---|---|---|---|
마케팅 | 기사작성 | 키워드 결정 | 고 | 중 |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기사 구성 결정 | 중 | 저 |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기사본문 집필 | 저 | 고 |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워드프레스에 입력 / 디자인 조정 | 고 | 고 | |
영업부 | 아웃바운드영업 | 영업 리스트 작성 | 저 | 저 | |
영업부 | 아웃바운드영업 | 영업 시나리오 작성 | 중 | 중 | V |
- 반복적인가
- 보통 Dify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놓고 한 번에 만족하는 경우는 없다. 반복적일 수록 피드백을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고 이에 대한 개선 작업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.
- 반복적일수록 담당자들이 좀 더 빨리 적응이 가능하다.
- 정확해야 하나
- 100% 또는 70% 의 문제
- 언제나 100%의 정확성을 갖는 답은 없다.
- 작업에서 어느정도 정확도를 요구하냐를 판단하는 것은 성공/실패를 판단하는 중요 기준이 될 수 있다.
- 코어 업무
- 코어 업무일수록 성공시 전체에 주는 임팩트가 크다.
- 유난히 정확도가 100%를 고집하는 사람이 있었다. 이는 설득의 문제이다.
8. AI로 절약할 수 있는 비용 계산
업무별로 연간 상정 비용을 산출했다면, 다음은 ‘어느정도 AI화를 진행할 수 있을까?’ 을 기입한다.
담당업무, 담당자 | 업무 프로세스1 | 업무 프로세스2 | 기대 AI화 % | 연간 예상 절약 비용(원) | 우선해야 할 업무 |
---|---|---|---|---|---|
마케팅 | 기사작성 | 키워드 결정 | 30% | 4,320,000 |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기사 구성 결정 | 70% | 134,400,000 | ○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기사본문 집필 | 70% | 134,400,000 | ○ |
마케팅 | 기사작성 | 워드프레스에 입력 / 디자인 조정 | 30% | 8,640,000 | |
영업부 | 아웃바운드영업 | 영업 리스트 작성 | 80% | 2,400,000 | ○ |
영업부 | 아웃바운드영업 | 영업 시나리오 작성 | 80% | 2,400,000 | ○ |
기대 AI화 비율은 내부 담당자, 또는 외부 전문가들을 통해 알아낸다.
[포인트]
- AI화에 의한 완전자동화를 목표로 하지 않는다
- 잘 하는것, 그렇지 않은 것을 파악한다
- 생성형 AI는 텍스트 생성, 요약, 분류, 추출 등 정형적인 정보처리, 반복작업을 잘한다
- 수치의 정확한 처리, 크리에이티브한 표현 등에는 잘 하지 못한다.
- 우선 해 본다
- Dify로는 모든지 빨리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될지 안될지는 빠르게 구축해 테스트를 해 봐야 한다.
- 그래야 ‘여기는 사람이 할 부분, 저기는 AI로 커버할 부분’ 등을 알 수 있다.